MY MENU

과민성장증후군

과민성장증후군

과민성 장증후군이란

  • 기능적인 소화관 이상으로 여러가지 검사는 정상이면서 만성적 반복적으로 복통, 변비 또는 설사 등의 증상이 반복되는 것을 말합니다. 모든 소화기 질환 중 가장 흔한 것으로 전체 인구의 15~30%에 해당하고 이 증상들은 여자가 남자보다 2배 가량 많습니다.

과민성 장증후군의 원인

  • 아직까지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장의 운동이상, 내장과 장체벽의 감각기능 이상, 심리적인 원인(스트레스), 자극적인 식사 등이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.

과민성 장증후군의 진단

    ① 지난 12개월 중 12주 이상(연속되지 않아도 됨)
    복부 불쾌감이나 복통이 있고, 다음 3가지 항목 중 2가지 이상 있을 때

  • 배변 후 증상이 완화

  • 증상과 함께 배변 횟수의 변화

  • 증상과 함께 대변 형태와 굳기의 변화

  • ② 이 외 다음의 증상이 동반되면 과민성 장 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.

  • 비정상적 배변횟수 ( 1일 3회 이상이거나 3주 1회 )

  • 비정상적 변의 형태(토끼 똥 같다/딱딱하다 혹은 무른 형태/물변)

  • 비정상적인 배변(과도하게 힘을 주며 배변하다, 변이 급하다, 잔변감이 있다.)

  • 배변의 1/4에서 점액성 변을 본다.

  • 연중 1/4이상 배가 부글대고 부르다.

  • 그러나 이런 기준으로 과민성 장 증후군이라는 진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조건이 있습니다.

  • 앞에서 이 질환은 장의 기능 이상에 의하여 나타나는 증후군이라고 했는데, 즉 염증성 장 질환, 장의 감염, 내분비계 질환, 장의 흡수장애, 신경계나 근육계통 질환, 악성 혹은 양성 종양 같은 기질적인 질환도 상기 증상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, 아래의 검사들을 시행하여 장의 기질적인 질환이 없음이 증명된 후에 내릴 수 있습니다.

  • ③ 진단을 위한 검사들

  • 문진 , 혈액 검사, 분변 검사, 단순 복부 X-선 촬영, 복부 초음파 검사, 대장 통과 시간 검사, 항문직장 내압검사, 배변 조영술

과민성 장증후군의 치료

    ① 일반적인 치료 원칙

  • 과민성 장 증후군은 환자가 이 증후군의 정체를 이해하고 기질적 질환이 아니라는 것만 이해해도 증상 완화에 큰 도움이 됨으로 치료자는 이런 증상이 유발되는 환경적, 정신과적 요인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주의 깊게 관찰하고 면담하여 적절한 지지와 지도를 할 수 있어야 하며, 필요 시 정신과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.

  • ② 식사 조절

  • 증상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는 음식물로는 지방질이 많은 음식 , 콩류, 가스를 생성하는 음식, 술, 카페인이나 젖당 분해 효소 결핍증 환자에서 젖당을 들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과다한 섬유질 섭취가 증상을 유발시킬 수 있지만, 불필요하게 음식을 제한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.

  • ③ 약물 치료

  •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의 대부분에서 약물 처방이 필요치 않으나 증상에 따라 약물을 처방 할 수 있습니다. 설사가 주 증상일 때 로페라마이드를 사용할 수 있고 변비 시에는 하루 20 ~ 30gm의 섬유식이가 적극 권장 됩니다 .또한 복통에는 장의 과도한 운동, 경련에 의한 것으로 칼슘 채널 차단제인 듀스파타린 같은 약물로 평활근을 이완시켜주어 증상을 완화시킵니다.

  • ④ 정신과적 치료

  • 보존적인 치료에 효과를 보지 못하거나 정신과적 문제가 이 증상과 연관이 되어 있는 환자들에게 적용 되어질 수 있는 치료입니다.